
AI가 점점 똑똑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바로 모르는 질문에 답하면서도 자신 있게 틀린 말을 하는 경우죠. 많은 이들이 이를 두고 “AI가 거짓말을 한다”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사실을 들여다보면, AI는 ‘거짓말쟁이’가 아니라 확률적으로 답을 찍는 존재에 가깝습니다.
AI는 ‘정답’을 모른다
인공지능은 사람이 시험 문제를 풀듯 정답을 아는 게 아닙니다. 대신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그 안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단어와 문장을 이어 붙여 답을 만듭니다.
즉, 모르는 질문을 받으면 AI는 “아무것도 모르겠다”고 말하기보다는, 그럴듯한 답을 찍어서 내놓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왜 AI는 틀리면서도 자신 있게 말할까?
AI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모릅니다”라고 말하지 않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경험(UX) 때문입니다.
* 대답을 못 하면 쓸모없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 AI는 최대한 답을 만들어내려는 설계 구조를 갖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자신감 있는 어투로 전달되면, 우리는 AI가 거짓말한다고 느끼게 되는 겁니다.
AI의 ‘찍기’는 사람과 다르다
우리가 시험에서 찍을 때는 100% 운에 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AI의 ‘찍기’는 확률에 기반한 추론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질문에 대해 정확한 답변은 없지만, 과거 학습 데이터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패턴을 조합해 그럴듯한 문장을 생성합니다. 이 때문에 정답일 확률이 어느 정도 있지만, 동시에 틀릴 가능성도 큰 답변이 나오는 거죠.

이 현상의 전문 용어: 환각(Hallucination)
AI가 존재하지 않는 사실을 지어내거나, 틀린 내용을 실제처럼 말하는 걸 **환각(Hallucination)**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존재하지 않는 논문 제목이나 가짜 인물의 발언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즉, AI의 ‘찍기’는 단순한 오류가 아니라, 구조적으로 나타나는 한계 현상입니다.
현명하게 AI 활용하기
AI가 모르면 찍는다는 사실을 이해했다면, 우리는 더 똑똑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팩트 체크
* 아이디어나 초안용으로 활용하기 (최종 검증은 사람의 몫)
* 최신 정보 확인 (AI는 훈련 시점 이후 업데이트가 안 된 경우가 많음)
결론: AI는 거짓말쟁이가 아니라, 추측가다
AI는 의도적으로 속이려는 존재가 아닙니다. 단지 데이터와 확률에 따라 가장 자연스러운 답을 뱉어낼 뿐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AI의 한계를 이해하고, **“AI는 모르면 찍는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그렇게 한다면 AI의 오류를 오해하지 않고, 오히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입니다.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내 지갑을 챙겨주는 똑똑한 친구, AI 금융 에이전트” (18) | 2025.09.12 |
|---|---|
| 광주시, 대한민국 AI 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다 (10) | 2025.09.11 |
| 자동화 도구 Make 활용법: 일상과 업무를 혁신하는 방법 (1) | 2025.09.10 |
| 챗지피티(ChatGPT) 활용해서 영어회화 공부하기 (2025년 최신 방법) (13) | 2025.09.09 |
| Genspark AI와 Genspark AI 브라우저: 차이점 총정리 (2025년 최신) (3) | 2025.09.09 |